티스토리 뷰
Link/Search & Gossip > Q: 논어에서 물 수水는 어디에 어떻게 몇번 쓰였을까? A: 총 3번 (6권 雍也篇 옹야편, 7권 述而篇 술이편, 15권 衛靈公篇 위령공편)
Geo 2022. 12. 14. 10:30
Link/Search & Gossip > Q: 논어에서 물 수水는 어디에 어떻게 몇번 쓰였을까? A: 총 3번 (6권 雍也篇 옹야편, 7권 述而篇 술이편, 15권 衛靈公篇 위령공편) - 해설 & 의미/짐작 (출처 확인 완료, Gossip 작성중)
---
논어 論語 Analects
https://ko.wikipedia.org/wiki/%EB%85%BC%EC%96%B4
https://en.wikipedia.org/wiki/Analects
-
* Gossip:
- 물에 대한 이야기 ... 생존에 필수, 도시 생성/발전의 조건, 다양한 생각/상상/비유의 원형/원천
- 공자에 대한 이야기 ... 현실주의적, 도덕주의적이지만 실용주의적/현실주의적
- 논어의 형이상학적 해석/활용의 위험성 ... 원전의 뜻과 다른, 자의적 오독/오해/오용 (예: 인자요산 지자요수...)
- Q: 왜 굳이 논어는 학문하는 방법, 친구, 군자의 한가지 자질로 시작했을까? (시대/짐작 & 개인에 대한 요구/제안)
- 동서양의 철학/전통의 비판적/반성적 통합과 조화의 필요성... 단지 당위론이 아니라, 우리 문화의 처해진 현실
-
Link/Search & Gossip > Q: 논어에 있다는 "학문 역수행주 불/부진즉퇴 學問 如逆水行舟 不進則退"의 출처는?
--> A: 저자/출처 미상 (최초 저자/출처/원전 확인 실패. 반나절 검색으로 짐작.)
https://linkandgossip.tistory.com/2955
Link/Search & Gossip > Q: 논어에서 물 수水는 어디에 어떻게 몇번 쓰였을까?
--> A: 총 3번 (6권 雍也篇 옹야편, 7권 述而篇 술이편, 15권 衛靈公篇 위령공편)
https://linkandgossip.tistory.com/2966
-
- 발단: 신입사원/후배에게 조언 글/메일 쓰기 시작... (글을 쓰려고 출처 확인하다가... 삼천포로...)
: 學問(학문)은 如逆水行舟(여역수행주)하여 不進則退(부진즉퇴)
: 기술의 진보... 물을 거슬러 헤엄치거나, 물을 따라서 헤엄치거나
--> 공자의 논어... 읽어보길. 형이상학으로 흐르지 않으면, 동양의 당위적 "조직론"
--> 다만, 시대적 배경의 차이 감안하여, 현대적 조건에서 해석/재해석/비판적수용
Gossip > Q: 엔지니어가 직장에서 어떻게 자기계발과 관리자로 오래 일할 수 있을까?
https://linkandgossip.tistory.com/2935
-
---
* A: 총 3번으로, 그 위치, 용도, 의미는 다음과 같음.
: 6권 雍也篇 옹야편, 7권 述而篇 술이편, 15권 衛靈公篇 위령공편
* 검색 결과 & 활용 뜻/의미
: [TBD...]
-
6-22
子曰,“知者樂水,仁者樂山.知者動,仁者靜.知者樂,仁者壽.”
論語(논어) > 卷六
◈ 論語(논어) 雍也篇(옹야편) ◈
23
子曰:「知者樂水,仁者樂山;知者動,仁者靜;知者樂,仁者壽。」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4199
원문/전문 보기 - 論語(논어) 雍也篇(옹야편)
8 季康子問:「仲由可使從政也與?」子曰:「由也果,於從政乎何有?」曰:「賜也,可使從政也與?」曰:「賜也達,於從政乎何有?」曰:「求也,可使從政也與?」曰:「求也藝,於從
www.davincimap.co.kr
전통문화연구회 > 직해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2958&listLevel=
한문독해첩경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권한이 없어 일부 기능만 이용이 가능합니다.(하단 참조)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hm.cyberseodang.or.kr
-
7-15
子曰,“飯疏食飮水,曲肱而枕之,樂亦在其中矣.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
論語(논어) > 卷七
◈ 論語(논어) 述而篇(술이편) ◈
16
子曰:「飯疏食飲水,曲肱而枕之,樂亦在其中矣。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4200
원문/전문 보기 - 論語(논어) 述而篇(술이편)
31 陳司敗問昭公知禮乎?孔子曰:「知禮。」孔子退,揖巫馬期而進之,曰:「吾聞君子不黨,君子亦黨乎?君取於吳為同姓,謂之吳孟子。君而知禮,孰不知禮?」巫馬期以告。子曰:「丘也
www.davincimap.co.kr
전통문화연구회 > 직해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3098&listLevel=2
한문독해첩경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권한이 없어 일부 기능만 이용이 가능합니다.(하단 참조)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hm.cyberseodang.or.kr
-
15-36
子曰,“民之於仁也,甚於水火.水火,吾見蹈而死者矣,未見蹈仁而死者也.”
論語(논어) > 卷十五
◈ 論語(논어) 衛靈公篇(위령공편) ◈
35
子曰:「民之於仁也,甚於水火。水火,吾見蹈而死者矣,未見蹈仁而死者也。」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4208
원문/전문 보기 - 論語(논어) 衛靈公篇(위령공편)
42 師冕見,及階,子曰:「階也。」及席,子曰:「席也。」皆坐,子告之曰:「某在斯,某在斯。」師冕出。子張問曰:「與師言之道與?」子曰:「然。固相師之道也。」
www.davincimap.co.kr
전통문화연구회 > 직해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4587&listLevel=2
한문독해첩경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권한이 없어 일부 기능만 이용이 가능합니다.(하단 참조)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hm.cyberseodang.or.kr
-
1-1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論語(논어) > 卷一
◈ 論語(논어) 學而篇(학이편) ◈
1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2
有子曰:「其為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為仁之本與!」
3
子曰:「巧言令色,鮮矣仁!」
4
曾子曰:「吾日三省吾身:為人謀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傳不習乎?」
5
子曰:「道千乘之國:敬事而信,節用而愛人,使民以時。」
6
子曰:「弟子入則孝,出則弟,謹而信,汎愛眾,而親仁。行有餘力,則以學文。」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4194
원문/전문 보기 - 論語(논어) 學而篇(학이편)
15 子貢曰:「貧而無諂,富而無驕,何如?」子曰:「可也。未若貧而樂1,富而好禮者也。」子貢曰:「《詩》云:『如切如磋,如琢如磨。』其斯之謂與?」子曰:「賜也,始可與言詩已矣!
www.davincimap.co.kr
전통문화연구회 > 직해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2050&listLevel=
한문독해첩경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子曰 學而時習之면
hm.cyberseodang.or.kr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2057&listLevel=2
한문독해첩경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
hm.cyberseodang.or.kr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2061&listLevel=2
한문독해첩경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人不知而不慍이면 不
hm.cyberseodang.or.kr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2068&listLevel=2
한문독해첩경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有子曰 其爲人也孝
hm.cyberseodang.or.kr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2073&listLevel=2
한문독해첩경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君子는 務本이니 本立
hm.cyberseodang.or.kr
---
* 의미: 간단한 구글 번역기 (오역 가능성)
Google 번역
子曰,“知者樂水,仁者樂山.知者動,仁者靜.知者樂,仁者壽.”
translate.google.com
Google 번역
子曰,“飯疏食飮水,曲肱而枕之,樂亦在其中矣.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 子曰,“飯疏食飮水,曲肱而枕之,樂亦在其中矣.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 子曰,“飯疏食飮水,曲肱而枕之,樂亦在其
translate.google.com
Google 번역
子曰,“民之於仁也,甚於水火.水火,吾見蹈而死者矣,未見蹈仁而死者也.” 子曰,“民之於仁也,甚於水火.水火,吾見蹈而死者矣,未見蹈仁而死者也.” 子曰,“民之於仁也,甚於水火.水火,吾見蹈而死
translate.google.com
-
Google 번역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
translate.google.com
-
* 의미: 제대로 된 해설서에서...
[TBD...]
---
---
Link/Search & Gossip > Q: 논어에서 물 수水는 어디에 어떻게 몇번 쓰였을까? A: 총 3번 (?편, ?편, ?편)
https://linkandgossip.tistory.com/2966
Link/Search & Gossip > Q: 논어에 있다는 "학문 역수행주 불/부진즉퇴 學問 如逆水行舟 不進則退"의 출처는?
--> A: 저자/출처 미상 (최초 저자/출처/원전 확인 실패. 반나절 검색으로 짐작.)
https://linkandgossip.tistory.com/29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