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Link/Search & Gossip > 장하준 vs 장하성, 재별 개혁/견제/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feat. 주진형)
Geo 2024. 2. 10. 20:30
Link/Search & Gossip > 장하준 vs 장하성, 재별 개혁/견제/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feat. 주진형) (인공지능 AI 서비스 답변 정리중)
---
* Gossip: 장하준 vs 장하성... 두 학자들의 주장, 링크모음을 오랜만에 다시 정리해봄.
최근에 다양한 인공지능 AI 서비스들이... 과거 검색에 비해서 얼마나 나은 결과를 주는지도 비교.
아직은 그런 서비스들이 이런 학술적/복잡한 질문들에 제대로 한번에 답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임.
다시 손대는 김에... 대표적인 몇몇 인공지능 AI 서비스들의 답변도 하나로 정리해서 모아볼 것~!
---
장하성 vs 장하준 : 재벌개혁/국내자본견제 vs 반신자유주의/국제자본견제의 문제
* Gossip:
"장하성 장하준"으로 검색을 해보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Naver, Daum, Google 모두 검색 결과가 엉망(?)이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그 두 인물의 집안에 관심이 있을 수도 있으나, 그런 정말 부수적인 집안/개인사 이야기가 아니라...
두 사람의 학자들이 거시경제/기업지배에 대한 중요하고 첨예한 이론/논리/노선의 차이에 대해서 논쟁한 과정 & 결과들
또는 그것을 정리하거나 잠정적인 결론을 내려놓은 글이 상위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형편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Gossip:
2000/2010년대 경제학자들간의 자본주의에 대한 재벌개혁 vs 반신자유주의 논쟁의 구도/양상이 1980/1990년대 학생운동권에서 공산주의/사회주의에 대한 PD vs NL 논쟁과 꽤 비슷하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나만의 착각일까? 어느 한쪽이 완전히 맞고 다른 한쪽은 완전히 틀릴까? 한국사회의 특성상, 두가지 문제/모순이 공존하는 것은 아닐까?
만약에 공존한다면, 우선순위나 선후의 문제일뿐, 어차피 다 해결해야 할 문제는 아닐까? 물론, 진화/발전의 과정/단계상 어느 것을 먼저 하고 다른 것을 나중에 할 수/필요는 있을 수 있겠지만... 현실에서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는 것이 아닐까? 과거 역사에서 왕조나 지배세력을 바꾸거나 견제할 때, 구체제/구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 힘이 부족한 신흥세력이 내부세력과 외부세력이 협력을 할 수는 있지만, 항상 그런 구체제/구모순을 극복하고 나면, 내부세력이 힘을 빌렸던 외부세력을 다시 극복하는 문제가 남았는데, 이번에도 그런 상황과 유사하지는 않을까? 또 다른 의문, 정말 중요한 의문은 현재 신흥세력/내부세력이 외부세력이 필요할만큼 힘이 수단이 부족한가? (현정권의 힘이 국제자본의 힘을 빌려야할만큼 국내자본에 비해 약한가? 학자 개인으로 움직일 때야, 어쩔 수 없이 이이제이를 한다고 해도, 정권의 힘을 손에 넣은 현상황에서 굳이 국제자본의 힘을 빌려야 국내자본의 견제가 가능한 것일까? 민주주의 이전의 시대에는 힘이 폭력/군사력이었으니 그렇다고 하고, 민주주의 시대에는 힘이 당위/명분/여론/법률이니 자본주의의 게임의 규칙을 정하는 권력/입법권이 없을 때는 게임의 참가자로서 직접적인 자본의 힘을 빌어야 한다고 해도, 권력/입법권이 있을 때는 게임의 설계자/심판관으로서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직접적인 자본의 힘을 꼭 빌려야 하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 물론, 자본/소유권에 의해 움직이는 자본주의에서 장기적으로는 자본/소유권이 없이는 그런 게임의 규칙도 게임의 결과도 유지하기 쉽지는 않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여러가지 기금을 활용하면 국내자본으로도 충분히 가능할 것 같은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청년일 때 그렇게 공산주의/사회주의로 논쟁하던 사람들이 20여년이 흐른 지금 다시 자본주의로 논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한국이 경제발전도 이식에 의한 압축성장을 했듯이, 학계도 주로 이식에 의한 압축성장을 해서, 제대로 된 내부 논쟁/정리가 덜 된 것이 현실의 문제에 의해 밖으로 드러난 것은 아닐까?
현실 정치/정치경제에서는 이미 인사/인선에서 정책 노선이 드러났으니, 앞으로 5년이 어떤 의도/방향인지는 정해진 것이고, 다만 그렇다면 거꾸로 다른 한 측면/부작용을 어떻게 균형잡기/관리 할 것인지가 오히려 문제 아닐까?
여러가지 의문이 드는데, 관련된 링크들을 한번 모아보자.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2017. 06. 06.
Gossip @ Link & Gossip
출처: https://linkandgossip.tistory.com/90 [Link & Gossip:티스토리]
-
---
---
Link/Search & Gossip > 장하준 vs 장하성, 재별 개혁/견제/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feat. 주진형)
https://linkandgossip.tistory.com/3526
Link/Search > 장하준 vs 장하성, 재별 개혁/견제/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https://linkandgossip.tistory.com/2194
-
장하성 vs 장하준 : 재벌개혁/국내자본견제 vs 반신자유주의/국제자본견제의 문제
https://linkandgossip.tistory.com/90
사건 > 삼성 장춘기 장충기 사장 문자 (by 시사인 주진우 기자)
https://linkandgossip.tistory.com/175
책 >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Economics: The User's Guide (by Ha-Joon Chang, 2014)
책 > 장하성의 왜 분노해야 하는가
책 > 노동의 미래 (강호인 박순애 엄석진 (편저) 외, 2016)
https://linkandgossip.tistory.com/947
-
장하준
장하준의 경제학 제 1편 우리가 경제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 [EBS 특별기획 통찰]
https://www.youtube.com/watch?v=xtzSeDGfn-Q
장하준의 경제학 2편 복지와 분배 [EBS 특별기획 통찰]
https://www.youtube.com/watch?v=tUMprg1xW0Y
EBS > 특별기획 통찰 > 장하준의 경제학 1편 & 2편 (2016년 6월)
https://linkandgossip.tistory.com/59
-
장하성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한가? (장하성 교수)
플라톤아카데미TV
420K subscribers
227,389 views Nov 30, 2015
https://www.youtube.com/watch?v=k_JD_oVkoaI
jtbc > 차이나는 클라스 > 장하성 편 (9회~10회)
https://linkandgossip.tistory.com/65
-
주진형
[주진형의 경제알바] 1. 청년을 위한 경제
손혜원TV
295K subscribers
271,277 views Jan 6, 2017 #손혜원방송국
https://www.youtube.com/watch?v=LP2Sh23SXuM
[주진형의 경제알바] 2. 재벌개혁은 사법개혁으로
손혜원TV
295K subscribers
147,647 views Jan 9, 2017 #손혜원방송국
https://www.youtube.com/watch?v=A1LhQMVnaNc
YouTube > 손혜원 > 주진형의 경제민주화 (2017.01.05 ~ 2017.02.11.)
https://linkandgossip.tistory.com/106
Issue > 경제 > 장하성: 소득주도성장 & 김동연: 혁신성장 & 김상조: 공정경제
https://linkandgossip.tistory.com/683
-
장하성 vs 장하준 지배구조 논란 '라이벌戰'
입력 2006. 3. 20. 13:07 수정 2006. 3. 20. 13:07
https://v.daum.net/v/20060320130712787
-
장하성이 말하는 한국경제가 장하준 극복하는 방법
[인터뷰] 장하성 고려대 경영대학원 교수, “배당 주느라 임금 못 올려준다고? 황당무계한 소리”
기자명이정환 기자 | 입력 2014.09.28 09:40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013
-
재벌개혁 속도내는 '兄'…타협해야 한다는 '弟'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07.18 16:40
https://www.ekn.kr/web/view.php?key=375068
-
Naver > 장하준 장하성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query=%EC%9E%A5%ED%95%98%EC%A4%80+%EC%9E%A5%ED%95%98%EC%84%B1
Google > 장하준 장하성
https://www.google.com/search?q=%EC%9E%A5%ED%95%98%EC%A4%80+%EC%9E%A5%ED%95%98%EC%84%B1
Bing > 장하준 장하성
https://www.bing.com/search?q=%EC%9E%A5%ED%95%98%EC%A4%80+%EC%9E%A5%ED%95%98%EC%84%B1
-
---
---
* Discussion with AI comparisons
1) Perplexity, 2) MS BingChat/Copilot, 3) Google Bard/Gemini, 4) Naver Que
---
1) Perplexity
3rd Trial
두명의 학자 장하준과 장하성의... 재별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비교하여 요약해줘
[TBD] (현재는 비교 자체를 아예 못하고 있음.)
2nd Trial
Please answer the following: Do you know about the korean scholars... 1) 장하준 Ha-Joon Jang, 2) 장하성 Ha-Sung Jang?
https://www.perplexity.ai/search/Please-answer-the-23yt6Pd4S1WF.wCphHT6FA
1st Trial
장하준 vs 장하성, 재별 개혁/견제/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비교하여 요약해줘
https://www.perplexity.ai/search/vs-B79ud5P4SFSuHClCYoA2oA
-
---
2) MS BingChat/Copilot
-
두명의 학자 장하준과 장하성의... 재별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비교하여 요약해줘
https://www.bing.com/chat?form=NTPCHB
-
2nd Trial
한국 경제학자 **장하준**과 **장하성**은 재벌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장하준 (Cambridge 대학 교수)**:
- **재벌 개혁**: 재벌체제를 비판하며 "신자유주의의 앞잡이들"이라고 표현했습니다.
- **재벌 견제**: 소버린 펀드와 손을 잡은 장하준은 "투기자본의 앞잡이"라고 비난했습니다.
- **재벌 활용**: 한국 경제의 고질적 문제는 재벌이 아니라 신자유주의라고 주장합니다.
2. **장하성 (고려대 교수)**:
- **재벌 개혁**: 재벌 저격수로 불리며 재벌 개혁을 주도했습니다.
- **재벌 견제**: "월스트리트 앞잡이"라는 비난에 동의하지 않지만 기관 투자자들이 투자해서 여의도 앞잡이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 **재벌 활용**: "한국식 자본주의자"라고 불러달라고 합니다.
3. **김상조 (한성대 교수)**:
- 장하준 교수를 겨냥해 "재벌과 화해하면서도 진보적 성향의 교수로서 명망을 유지하려는 기회주의적 방식"이라고 비판했습니다.
4. **김성구 (한신대 교수)**:
- "구자유주의자"라고 부르며 장하성 교수를 "한국식 자본주의자"라고 불러달라고 합니다.
이들의 견해는 경제 개혁과 재벌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보여줍니다¹².
출처: Bing과의 대화, 2024. 2. 10.
(1) 재벌 개혁, 어떤 경제학자의 말이 옳은가? | ㅍㅍㅅㅅ. https://ppss.kr/archives/30947.
(2) “장하준, 한국재벌 공부가 안돼 있다”“착한 자본주의? 사람들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35420.html.
(3) 근대화(近代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7398.
-
1st Trial
나
Do you know about the korean scholar 장하준?
Copilot
Certainly! Jang Ha-Joon (장하준) is a distinguished South Korean economist and academic. He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institutional economics and development theory. Here are some key points about him:
Background:
Jang Ha-Joon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economics.
He pursued further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where he earned both hi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n economics.
In 1990, he became the first Korean to be appointed as a professor of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Later, in 2022, he joined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SOAS) as a professor of economics.
Notable Achievements:
Jang Ha-Joon received the Gunnar Myrdal Prize in 2003 for providing alternative perspectives in development economics.
In 2005, he was honored with the Vasily Leontief Prize for expanding the horizons of economic thought.
His work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 policies, including those of Ecuador’s President Rafael Correa.
Published Works:
Jang Ha-Joon authored several influential books, including:
“Kicking Away the Ladder” (2003), which received the Myrdal Prize.
“Bad Samaritans: Rich Nations, Poor Policies, and the Threat to the Developing World” (2007), where he critiqued both free-market policies and protectionism.
“23 Things They Don’t Tell You About Capitalism” (2010), which became a bestseller.
Current Rol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of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London.
Jang Ha-Joon’s views have sparked debates and discussions, making him a prominent figure in international economics.
For more details, you can explore his works and contributions further. 📚🌟
자세한 정보
1 ko.wikipedia.org
2 en.wikipedia.org
3 aladin.co.kr
4 product.kyobobook.co.kr
5 joongang.co.kr
나
Do you know about the korean scholar 장하성?
Copilot
Certainly! Jang Ha-Sung (장하성) is a distinguished South Korean economist and academic. Here are some key points about him:
Background:
Jang Ha-Sung was born on September 19, 1953 in Gwangju, South Korea.
He holds a master’s degree in economics from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and a Ph.D. in business administration (finance) from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Career Highlights:
Jang Ha-Sung served as a profess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at Korea University.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mall Shareholders’ Rights Movement in 1998 and advocated for corporate transparency and governance reforms.
In 2006, he established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Fund (KCGF), which aimed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by engaging with companies and enhancing their value.
From May 21, 2017 to November 9, 2018, he held the position of Policy Chief in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during President Moon Jae-In’s administration.
After his tenure in the government, Jang Ha-Sung returned to academia and was later appointed as the Ambassador to China.
Family Ties:
His father is Jang Chung-Sik, a former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His sister is Jang Ha-Jin, who served as the Minister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ffairs.
Jang Ha-Sung’s contributions to economics and governance have left a lasting impact, both in academia and public service. 🌟📚
자세한 정보
1 ko.wikipedia.org
2 jschae.tistory.com
3 star-profile.tistory.com
4 harrison-jo.tistory.com
5 yna.co.kr
나
Do you know what 재벌 is?
Copilot
Certainly! 재벌 (pronounced “jaebeol”) refers to large conglomerates in South Korea. These conglomerates are typically family-controlled and consist of various affiliated companies spanning multiple industries. Here are some key points about 재벌:
Definition:
The term “재벌” is derived from the Japanese word “Zaibatsu” (財閥), which means a family-controlled business group.
In South Korea, these conglomerates are commonly known as “Chaebol” (채별).
Characteristics:
Chaebols are characterized by their diversified business structures, with ownership spanning multiple subsidiaries across different markets.
While they appear independent on the surface, there are often strong interconnections among the companies within a chaebol group.
Key chaebol members (often family or close relatives) hold significant stakes in a holding company (the main entity) that controls various subsidiaries.
Historical Context:
Chaebols played a crucial role in South Kore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during the 1960s and onward.
Notable chaebols include Samsung, Hyundai, LG, SK, and Lotte, among others.
Some chaebols faced challenges during the late 1990s due to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subsequent reforms.
Criticism and Challenges:
Chaebols have faced criticism for issues such as concentration of power, lack of transparency, and cross-shareholding practice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and reduce the influence of chaebol owners.
Remember that while the term “chaebol” specifically refers to South Korean conglomerates, similar family-controlled business groups exist in other countries (such as Japan’s zaibatsu). 🌟🇰🇷
자세한 정보
1 stardailynews.co.kr
2 msn.com
3 tenasia.hankyung.com
4 ko.wikipedia.org
5 ko.wikipedia.org
나
Do you know what each of the 2 scholars thinks about the control or governance of 재벌? What can you learn about their positions from either their publications or news articles about them?
Copilot
Certainly! Let’s delve into the views of both scholars, Jang Ha-Joon and Jang Ha-Sung, regarding the control and governance of South Korean chaebols:
Jang Ha-Joon:
Background:
Jang Ha-Joon is a renowned economist and academic, known for his contributions to institutional economics and development theory.
He has authored influential books and held prestigious positions in academia.
Views on Chaebol Control and Governance:
Jang Ha-Joon has been a vocal critic of neoliberal economic policies.
Contrary to some advocates of chaebol reform, he defends these conglomerates.
He believes that chaebols play a crucial role in Sou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Jang emphasizes that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responsible corporate behavior are essential for chaebols.
He argues that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and enhancing investor confidence can create substantial value for the economy1.
Impact:
Jang Ha-Joon’s views have sparked debates and discussions, making him a prominent figure in international economics.
Jang Ha-Sung:
Background:
Jang Ha-Sung, a finance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has a strong background in economics and finance.
He traces corruption at top levels back to the 1970s and 1980s when chaebols were rapidly growing and competing globally.
Advocacy for Shareholder Rights:
Jang Ha-Sung is South Korea’s boldest shareholder rights advocate.
He challenges the powerful chaebols head-on, aiming to make them transparent, accountable, and responsible.
His battles with chaebols have led to reforms and garnered support from middle-class workers.
Jang insists that anachronistic management practices and poor corporate governance hold back South Korea’s economic potential.
He emphasizes the need for transparency, greater investor confidence, and improved value creation2.
Recognition and Impact:
Regulators and experts recognize Jang as a “true revolutionary” and a key player in moving Korea toward a market economy.
His work provides a form of market discipline and contributes to corporate governance reforms.
In summary, while Jang Ha-Joon defends chaebols’ role in development, Jang Ha-Sung actively advocates fo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seeking to transform these conglomerates into responsible corporate citizens. Their differing perspectives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ourse on chaebol governance in South Korea. 🌟🇰🇷
자세한 정보
1 english.hani.co.kr
2 institutionalinvestor.com
3 econpapers.repec.org
4 inquiriesjournal.com
5 link.springer.com
6 forbes.com
7 cfr.org
+3 더 보기
나
If you had to compare their opinions... for example, pro or con, or methods of control, role to play, etc... where do they agree and where do they disagree?
Copilot
Certainly! Let’s compare the opinions of Jang Ha-Joon and Jang Ha-Sung regarding chaebols (South Korean conglomerates):
Areas of Agreement:
Importance of Chaebols:
Both scholars recognize the significant role chaebols have played in Sou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hey agree that these conglomerates are crucial for the country’s growth and global competitiveness.
Corporate Governance Reform:
Both scholars advocate for improvements in corporate governance within chaebols.
They believe that transparent, accountable, and responsible management practices are essential.
Jang Ha-Sung’s focus on shareholder rights aligns with Jang Ha-Joon’s emphasis on responsible behavior.
Value Creation:
They agree that enhancing investor confidence and creating value for the economy are vital.
Jang Ha-Joon emphasizes that well-governed chaebols can contribute positively.
Jang Ha-Sung’s efforts to challenge chaebols aim at unlocking their potential.
Areas of Disagreement:
Neoliberal Policies:
Jang Ha-Joon criticizes neoliberal economic policies, but he defends chaebols.
Jang Ha-Sung actively challenges chaebols, advocating for reforms.
Ownership Structure:
Jang Ha-Joon is less critical of the family-controlled ownership structure.
Jang Ha-Sung seeks greate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challenging the concentration of power.
Methods of Control:
Jang Ha-Joon believes that chaebols can be reformed from within, emphasizing their positive contributions.
Jang Ha-Sung’s shareholder activism aims to exert external pressure for change.
Role of Government:
Jang Ha-Joon may see a more active role for the government in shaping chaebol behavior.
Jang Ha-Sung’s approach relies on market discipline and shareholder activism.
In summary, while both scholars recognize chaebols’ importance, their approaches differ: Jang Ha-Joon leans toward reform from within, while Jang Ha-Sung actively challenges the status quo. Their nuanced perspectives contribute to the ongoing debate on chaebol governance. 🌟🇰🇷
나
ok. so... if i asked you again... 1) do you know 장하준 and 장하성?, 2) how would you compare them? what would your final answer be?
Copilot
Certainly! Let’s compare the views of Jang Ha-Joon and Jang Ha-Sung, two prominent South Korean scholars:
Jang Ha-Joon:
Economic Perspective:
Jang Ha-Joon defends chaebols, emphasizing their role in South Korea’s development.
He believes that well-governed chaebols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economy.
Advocates for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responsible corporate behavior.
Policy Approach:
Jang Ha-Joon leans toward reform from within, emphasizing positive contributions.
His work sparks debates and discussions in international economics.
Jang Ha-Sung:
Shareholder Rights Advocate:
Jang Ha-Sung actively challenges chaebols, seeking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His battles with chaebols have led to reforms and garnered support.
Insists on market discipline and improved value creation.
Role in Transformation:
Jang Ha-Sung’s approach relies on external pressure for change.
Recognized as a key player in moving Korea toward better corporate governance.
In summary, Jang Ha-Joon defends chaebols’ importance, while Jang Ha-Sung actively advocates for reform. Their nuanced perspectives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ourse on chaebol governance in South Korea. 🌟🇰🇷
-
---
3) Google Bard/Gemini
-
두명의 학자 장하준과 장하성의... 재별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비교하여 요약해줘
https://gemini.google.com/app/8c10f7d155ad89c6
-
1st Trial
장하준 vs 장하성: 재벌 개혁, 견제, 활용 비교 요약
1. 재벌 개혁
장하준: 재벌 중심 경제 구조 개혁을 통해 경제 성장과 분배 정의를 동시에 달성해야 합니다.
재벌의 독과점 시장 지배력을 약화하고 중소기업의 성장 기회를 확대해야 합니다.
재벌의 부당한 경영 승계 관행을 개선하고 기업 지배 구조를 투명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장하성: 재벌 개혁은 경제 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합니다.
재벌의 혁신과 투자를 저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장 경쟁을 강화해야 합니다.
재벌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기업 지배 구조를 개선해야 합니다.
2. 재벌 견제
장하준: 정부는 재벌의 시장 지배력을 견제하고 불공정 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강력한 공정거래 규제를 통해 재벌의 독점 행위를 막아야 합니다.
정부는 재벌의 부적절한 정치적 영향력을 차단해야 합니다.
장하성: 정부는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재벌을 견제하는 방식을 우선해야 합니다.
경쟁을 강화하고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어 재벌의 독점력을 약화해야 합니다.
시민 사회의 역할을 강화하여 재벌을 견제해야 합니다.
3. 재벌 활용
장하준: 재벌의 강점을 활용하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재벌의 기술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해야 합니다.
재벌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여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도록 해야 합니다.
장하성: 재벌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활용해야 합니다.
재벌의 경제 성장 기여도를 인정하면서도 부정적인 측면을 견제해야 합니다.
재벌이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4. 주요 차이점
장하준: 재벌 개혁과 견제에 더 큰 비중을 둡니다.
재벌 중심 경제 구조를 개혁하여 경제 성장과 분배 정의를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통해 재벌을 견제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장하성: 재벌 활용과 성장 가능성에 더 큰 비중을 둡니다.
재벌의 강점을 활용하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재벌을 견제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5. 결론
두 분의 학자는 재벌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재벌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에서 차이점을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 경제의 미래 방향에 대한 중요한 논쟁거리로 남아 있습니다.
-
2nd Trial
장하준 vs 장하성: 재벌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비교
1. 재벌 개혁
장하준:
재벌의 독과점적 시장 구조를 문제시하며, 경쟁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강력한 재벌 개혁 필요
주주 자본주의 해체와 경제 민주화를 통해 재벌의 지배 구조 개선 주장
재벌 3세 경영 승계, 부당 상속, 비자금 조성 등 문제점 해결 위한 정책적 개입 필요
장하성:
시장 경쟁과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점진적인 재벌 개혁 지지
과도한 규제는 오히려 경제 성장 저해 가능성 제기
기업 지배구조 개선, 소액 주주 권익 보호 강화, 부당 경영 관행 근절 등을 통한 재벌 개혁 방향 제시
2. 재벌 견제
장하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규제를 통한 재벌 견제 필요
공정거래위원회를 강화하고, 불공정 관행에 대한 처벌 강화 주장
재벌의 정치적 영향력 제한, 언론 장악 방지 등 제도적 개선 필요
장하성:
시장 메커니즘을 통한 자율적인 견제 시스템 구축 필요
공정거래위원회의 역할 강화, 기업 지배구조 개선 등을 통한 시장 경쟁 질서 확립 강조
시민 사회의 참여와 감시를 통한 재벌 견제 시스템 구축 중요성 제기
3. 재벌 활용
장하준:
재벌의 경제적 역할 인정하면서도, 사회적 책임 강조
국가 발전을 위한 재벌의 역할 극대화 위해 사회적 책임과 공정 경쟁 의식 제고 필요
재벌의 잉여 자본을 사회적 목적에 활용하는 방안 모색 필요
장하성: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재벌의 역할 중요시
혁신 투자 확대, 일자리 창출, 해외 시장 진출 등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기여 강조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통한 국가 경제 발전 전략 제시
4. 주요 차이점
장하준: 재벌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시각, 강력한 개혁 필요
장하성: 재벌의 긍정적 역할 인정, 점진적 개혁과 시장 경쟁 강조
5. 공통점
재벌 개혁과 견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재벌의 역할 중요시
기업 지배구조 개선, 소액 주주 권익 보호 강화 등의 개혁 방향
6. 결론
장하준과 장하성은 재벌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 경제 발전을 위한 재벌의 역할 중요성에 대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학자의 견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은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한 건설적인 논의에 기여할 것입니다.
-
3rd Trial
장하준 vs 장하성: 재벌 개혁, 견제, 활용
1. 재벌 개혁
장하준:
근본적인 개혁 필요: 재벌 중심 경제 구조는 불평등과 비효율성을 야기한다.
주주 중심 지배구조 개선: 주주 권익 보호 강화, 경영진의 책임성 제고
재벌 해체: 시장 지배력 남용, 부정축재 등의 경우 해체 필요
장하성:
점진적인 개선 필요: 급격한 변화는 경제 혼란 초래 가능
기업지배구조 개선: 독립이사 비중 확대, 사외이사 역할 강화
규제 완화: 혁신과 성장을 위한 규제 완화 필요
2. 재벌 견제
장하준:
강력한 규제 필요: 시장 지배력 남용 방지, 불공정 경쟁 방지
공정거래위원회 역할 강화: 재벌 규제를 위한 권한 강화, 독립성 확보
세제 개혁: 재벌에 대한 과도한 세금 감면 정책 재검토
장하성:
시장 메커니즘 활용: 과도한 규제는 경제 활력 저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전문성 강화: 객관적 기준에 입각한 규제
기업 간 경쟁 촉진: 신규 사업 진입 장벽 낮추기, 중소기업 육성
3. 재벌 활용
장하준:
국가적 목표 달성 위한 활용: 국가 발전 전략에 기여하는 투자 유도
노동 착취 방지: 노동자 권익 보호 강화, 최저임금 인상
사회적 책임 강화: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 확대
장하성:
혁신과 성장 동력으로 활용: 투자 확대, 일자리 창출 유도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해외 시장 진출 지원, 정부 정책 지원
기업 간 협력 촉진: 공동 연구 개발, 기술 교류
4. 시사점
장하준: 재벌 개혁과 견제를 통해 불평등 완화와 경제 효율성 증대
장하성: 점진적인 개선과 시장 메커니즘 활용을 통한 경제 성장
5. 결론
두 학자 모두 재벌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개혁, 견제, 활용 방식에 있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장하준 교수는 근본적인 개혁과 강력한 규제를 주장하는 반면, 장하성 교수는 점진적인 개선과 시장 메커니즘 활용을 강조합니다.
참고자료
장하준, "21세기 한국 경제의 과제":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장하성, "한국 경제의 미래: 제도 개혁과 성장 동력":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
---
4) Naver Que
-
두명의 학자 장하준과 장하성의... 재별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비교하여 요약해줘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query=Cue%3A&cue=0&where=nexearch&sm=cue_clk.wait
-
1st Trial
장하성과 장하준은 재벌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1][2]
장하성은 재벌 개혁을 강조하며 국내 자본을 견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반면 장하준은 반신자유주의를 주장하며 국제 자본을 견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사람의 경제학적 배경과 철학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장하성은 주주가치 이론을 바탕으로 경제민주화를 추구하며, 이를 위해 재벌 개혁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합니다. 반면 장하준은 대안연대 이론을 바탕으로 반신자유주의를 추구하며, 국제 자본의 유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합니다. [1]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학자는 모두 한국 경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방법론과 초점에는 차이가 있어, 앞으로도 계속해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적으로, 장하성과 장하준의 견해를 비교하고 이해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이론과 근거를 꼼꼼히 살펴보며 자신만의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보 출처: Cue:에서 생성된 답변입니다. 2024.02.11
[1] linkandgossip.tistory.com, https://linkandgossip.tistory.com/90
[2] linkandgossip.tistory.com, https://linkandgossip.tistory.com/2194
-
2nd Trial
장하준 교수와 장하성 교수는 모두 재벌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가진 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장하준 교수
- 과도한 재벌 개혁은 우리 경제 발전을 저해한다고 주장했습니다. [1]
- 기업이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고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1]
- 기업의 사업다각화는 기업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으며 문어발식 경영이라고 비판한다면 기업은 언제 신사업을 키워야 하냐고 반문하기도 했습니다. [1]
2. 장하성 교수
- 재벌 개혁이 경제민주화의 본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대기업의 사업 다각화와 순환출자 등을 비판하는 것은 역사성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2]
- 사업 다각화에 기업의 성장 의지 외에도 정부의 ‘떠맡기기’가 작용했던 점을 언급하며 과거에는 지주회사 설립과 교차소유가 금지됐기 때문에 순환출자가 이뤄질 수밖에 없었다고 분석했습니다. [2]
두 학자는 재벌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점을 고려하여 재벌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보 출처: Cue:에서 생성된 답변입니다. 2024.02.11
[1] 에너지경제, http://www.ekn.kr/news/article.html?no=373307
[2] 국민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526545?sid=101
-
3rd Trial
장하준 교수와 장하성 교수는 재벌 개혁, 견제, 활용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1]
1. 장하준 교수
- 재벌 개혁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재벌 기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고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재벌 기업의 문어발식 경영을 비판하는 것은 기업의 신사업 진출을 억제하는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합니다.
2. 장하성 교수
- 재벌 개혁이 경제 민주화의 본질이며, 재벌 기업의 사업 다각화와 순환 출자 등을 비판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재벌 기업의 사내 유보금이 증가하는 것이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는 주장을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과 내부유보세를 도입해야 한다는 제안을 했습니다.
두 교수의 견해 차이는 재벌의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정보 출처: Cue:에서 생성된 답변입니다. 2024.02.11
[1] http://www.pressian.com,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20986
-